스프링, 그리고 심 스택(shim stack)
지난 시간에는 서스펜션 세팅에서 놓치고 있는 스프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이 스프링의 변경에 따른 ‘심 스택’이라고 하는 것의 변경에 대해 알아봅니다. 심 스택이란 무엇인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변경하는 것인지 올린즈 코리아의 설명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늘어선 도넛 형태의 원판이 심 스택을 구성하는 심(shim)이다
서스펜션의 새그 세팅과 스프링 교환
앞선 시간에 설명한데로, 라이더의 체중이나 주행 환경에 맞춰 서스펜션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서스펜션의 새그(sag), 즉 늘어짐 정도를 맞춰줘야 합니다. 올바른 새그 세팅을 위한 기준 범위가 존재하고, 이 기준 범위에 맞추기 위해 이니셜을 변경해 새그를 맞추는 것입니다.
이 새그를 맞추는 과정에서 일정 이상의 이니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프링 교환이 필요합니다. 통상적으로 스프링 레이트(rate)의 30% 이상 이니셜을 더하거나 빼는 경우라면 다른 레이트의 스프링으로 교환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100N의 단일 레이트를 갖는 스프링인 경우 1mm당 100N의 힘이 스프링에 걸립니다. 기본 세팅으로 10mm의 예하중(프리로드)이 걸렸다면 스프링은 1000N의 값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 30%인 300N, 즉 3mm 이상 예하중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스프링의 교환이 필요합니다. 예하중을 더해야 한다면 레이트가 높은 스프링으로, 예하중을 빼야 한다면 낮은 레이트의 스프링으로 교환해야 한다는 것이 지난 시간까지 알아본 내용입니다.
상단 밸브(회색)로의 오일 흐름을 심 스택(초록색)이 가로막으며 압축, 신장 등의 감쇠력을 형성하는 것이다
심 스택이란?
여기에서 하나 더 고민해야 하는 것은, 이렇게 새그를 맞추는 과정에서 스프링 변경이 이루어진다면 스프링 변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서스펜션 내부의 심 스택에 대해서도 변경을 고려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심(shim)은 서스펜션 내부 밸브에 장착되는 것으로, 와셔처럼 중앙부에 구멍이 뚫린 원형 철판입니다. 이 심이 쌓여있는 구조를 심 스택(shim stack)이라 말하는데, 이 심의 개수나 두께, 배치로 인해 오일 흐름이 변경되어 서스펜션의 움직임이 달라집니다.
심 스택 변경에 따른 댐핑의 변화를 서스펜션 다이나모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심 스택을 변경하는 이유는?
새그를 맞추기 위해 스프링을 변경하면, 스프링이 움직이는 힘이 달라졌기 때문에 내부의 심 스택 또한 달라져야 합니다. 물론 서스펜션에서 제공하는 압축, 신장, 예하중의 조절을 통해 작동 범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변경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 내부의 심 스택을 변경하게 되면 변경 범위가 여유로울 정도로 커집니다.
올린즈에서는 세팅 뱅크를 통해 심 세팅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해 즉각적이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심 스택을 변경하는 방법은?
심 스택을 변경할 때 변경 전후의 상태에 대해 서스펜션 다이나모를 통해 측정이 가능합니다. 다이나모를 통해 얻은 측정값을 바탕으로 좀 더 정확한 심 스택 변경이 가능합니다.
물론 이러한 서스펜션 다이나모 없이도 심스택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는 올린즈가 오랜 시간동안 레이스에서 축적한 기록들이 있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세팅값이 마련되어 있어 라이더가 원하는 세팅에 맞춰 심 스택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레이스 현장에서도 이러한 세팅 뱅크를 바탕으로 즉각적인 변경도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심 스택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담당자와의 상담이 먼저 이루어집니다. 현재 상태와 함께 고객이 원하는 상태는 어떤 것인지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심 스택 변경에는 서비스 공임이 발생합니다.
취재협조/올린즈 코리아 070-4252-3036
#한국이륜차신문 #모터사이클뉴스 #올린즈 #올린즈코리아 #서스펜션
한국이륜차신문 301호 / 2018.2.16~2.28
Copyright ⓒ 한국이륜차신문 www.kmnews.net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스프링, 그리고 심 스택(shim stack)
지난 시간에는 서스펜션 세팅에서 놓치고 있는 스프링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오늘은 이 스프링의 변경에 따른 ‘심 스택’이라고 하는 것의 변경에 대해 알아봅니다. 심 스택이란 무엇인지, 어떤 기준으로 어떻게 변경하는 것인지 올린즈 코리아의 설명을 통해 알아봤습니다.
늘어선 도넛 형태의 원판이 심 스택을 구성하는 심(shim)이다
서스펜션의 새그 세팅과 스프링 교환
앞선 시간에 설명한데로, 라이더의 체중이나 주행 환경에 맞춰 서스펜션이 움직일 수 있는 범위를 충분히 확보하도록 서스펜션의 새그(sag), 즉 늘어짐 정도를 맞춰줘야 합니다. 올바른 새그 세팅을 위한 기준 범위가 존재하고, 이 기준 범위에 맞추기 위해 이니셜을 변경해 새그를 맞추는 것입니다.
이 새그를 맞추는 과정에서 일정 이상의 이니셜 조절이 필요한 경우에는 스프링 교환이 필요합니다. 통상적으로 스프링 레이트(rate)의 30% 이상 이니셜을 더하거나 빼는 경우라면 다른 레이트의 스프링으로 교환이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100N의 단일 레이트를 갖는 스프링인 경우 1mm당 100N의 힘이 스프링에 걸립니다. 기본 세팅으로 10mm의 예하중(프리로드)이 걸렸다면 스프링은 1000N의 값을 갖게 되는 것입니다. 이 상황에서 30%인 300N, 즉 3mm 이상 예하중의 변경이 이루어지면 스프링의 교환이 필요합니다. 예하중을 더해야 한다면 레이트가 높은 스프링으로, 예하중을 빼야 한다면 낮은 레이트의 스프링으로 교환해야 한다는 것이 지난 시간까지 알아본 내용입니다.
상단 밸브(회색)로의 오일 흐름을 심 스택(초록색)이 가로막으며 압축, 신장 등의 감쇠력을 형성하는 것이다
심 스택이란?
여기에서 하나 더 고민해야 하는 것은, 이렇게 새그를 맞추는 과정에서 스프링 변경이 이루어진다면 스프링 변경에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서스펜션 내부의 심 스택에 대해서도 변경을 고려해봐야 한다는 것입니다.
심(shim)은 서스펜션 내부 밸브에 장착되는 것으로, 와셔처럼 중앙부에 구멍이 뚫린 원형 철판입니다. 이 심이 쌓여있는 구조를 심 스택(shim stack)이라 말하는데, 이 심의 개수나 두께, 배치로 인해 오일 흐름이 변경되어 서스펜션의 움직임이 달라집니다.
심 스택 변경에 따른 댐핑의 변화를 서스펜션 다이나모를 통해 측정할 수 있다
심 스택을 변경하는 이유는?
새그를 맞추기 위해 스프링을 변경하면, 스프링이 움직이는 힘이 달라졌기 때문에 내부의 심 스택 또한 달라져야 합니다. 물론 서스펜션에서 제공하는 압축, 신장, 예하중의 조절을 통해 작동 범위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변경에 한계가 있습니다. 이 때 내부의 심 스택을 변경하게 되면 변경 범위가 여유로울 정도로 커집니다.
올린즈에서는 세팅 뱅크를 통해 심 세팅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해 즉각적이고 빠른 대응이 가능하다
심 스택을 변경하는 방법은?
심 스택을 변경할 때 변경 전후의 상태에 대해 서스펜션 다이나모를 통해 측정이 가능합니다. 다이나모를 통해 얻은 측정값을 바탕으로 좀 더 정확한 심 스택 변경이 가능합니다.
물론 이러한 서스펜션 다이나모 없이도 심스택의 변경이 가능합니다. 이는 올린즈가 오랜 시간동안 레이스에서 축적한 기록들이 있어,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세팅값이 마련되어 있어 라이더가 원하는 세팅에 맞춰 심 스택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레이스 현장에서도 이러한 세팅 뱅크를 바탕으로 즉각적인 변경도 가능합니다.
일반적으로 심 스택의 변경을 원하는 경우 담당자와의 상담이 먼저 이루어집니다. 현재 상태와 함께 고객이 원하는 상태는 어떤 것인지를 파악해야 하기 때문입니다. 심 스택 변경에는 서비스 공임이 발생합니다.
취재협조/올린즈 코리아 070-4252-3036
#한국이륜차신문 #모터사이클뉴스 #올린즈 #올린즈코리아 #서스펜션
한국이륜차신문 301호 / 2018.2.16~2.28
Copyright ⓒ 한국이륜차신문 www.kmnews.net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