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내기 라이더를 위한 안전 가이드
타이어는 단순한 통 고무 덩어리가 아니다. 타이어를 절단하면 내부가 다양한 소재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타이어는 크게 트레드, 사이드 월, 카카스, 비드 등으로 나뉜다.
우선 트레드(tread)는 노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각 타이어 브랜드는 이 트레드를 구성하는 소재를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고무를 비롯해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인 규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인 이산화규소(SiO₂)로 이루어진 실리카(silica)를 비롯해 탄소를 포함한 물질을 불완전 연소시켜 제조하는 검은 탄소의 미립자인 카본 블랙(carbon black), 팜 나무(기름 야자)의 열매에서 추출한 팜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 등 다양한 소재가 투입된다.
이 소재들의 비율이나 배합 방법에 따라 타이어의 성질이 변경되는데, 이를 토대로 여름용 타이어, 윈터 타이어(스노타이어), 레인 타이어, 4계절용 타이어 등이 나뉘기도 한다. 트레드 패턴(혹은 그루브)은 이 트레드에 새겨진 골과 같은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 패턴의 유무와 개수 등에 따라 발수력, 그립력 등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사이드 월(side wall)은 타이어의 측면을 뜻하는데, 타이어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함께 타이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기하는 곳이기도 하다. 트레드에 발생한 나사나 못 등에 의한 손상은 임시적으로 수선이 가능하나, 사이드월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선이 불가능해 즉각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카카스(carcass)는 트레드 하단에 위치한 각종 코드층을 뜻하는데, 이 카카스의 구성에 따라 타이어의 형태가 변경된다. 카카스에 사용하는 코드의 주요 소재로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이 사용되며, 일부 브랜드에서는 강철 벨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교체시기가 지난 타이어에서 간혹 보이는 실밥이나 철심 등이 바로 이 카카스 구조인데, 이 카카스 구조가 보이기 전에 타이어가 교체돼야만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다.
비드(bead)는 타이어가 림과 맞닿는 부분으로, 강철심을 고무와 충전재 등으로 코팅해 만든다. 적층된 코드 끝부분을 마감해 타이어가 림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가속과 감속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타이어 전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비드가 파손될 경우 공기압 유출 혹은 이너 튜브 이탈이 발생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장착 시 비드 파손에 유의하여야 하며, 사용 시에도 파손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한국이륜차신문 #모터사이클뉴스 #오토바이타이어 #타이어 #바린이
한국이륜차신문 301호 / 2018.2.16~2.28
Copyright ⓒ 한국이륜차신문 www.kmnews.net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
새내기 라이더를 위한 안전 가이드
타이어는 단순한 통 고무 덩어리가 아니다. 타이어를 절단하면 내부가 다양한 소재들로 구성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타이어는 크게 트레드, 사이드 월, 카카스, 비드 등으로 나뉜다.
우선 트레드(tread)는 노면과 맞닿는 부분으로, 각 타이어 브랜드는 이 트레드를 구성하는 소재를 위해 많은 연구를 하고 있다. 가장 기본이라 할 수 있는 고무를 비롯해 지구에서 가장 풍부한 원소인 규소와 산소로 이루어진 화합물인 이산화규소(SiO₂)로 이루어진 실리카(silica)를 비롯해 탄소를 포함한 물질을 불완전 연소시켜 제조하는 검은 탄소의 미립자인 카본 블랙(carbon black), 팜 나무(기름 야자)의 열매에서 추출한 팜유와 같은 식물성 오일 등 다양한 소재가 투입된다.
이 소재들의 비율이나 배합 방법에 따라 타이어의 성질이 변경되는데, 이를 토대로 여름용 타이어, 윈터 타이어(스노타이어), 레인 타이어, 4계절용 타이어 등이 나뉘기도 한다. 트레드 패턴(혹은 그루브)은 이 트레드에 새겨진 골과 같은 형상을 말하는 것으로, 이 패턴의 유무와 개수 등에 따라 발수력, 그립력 등에 차이를 보이기도 한다.
사이드 월(side wall)은 타이어의 측면을 뜻하는데, 타이어에 가해진 충격을 흡수하는 기능과 함께 타이어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기하는 곳이기도 하다. 트레드에 발생한 나사나 못 등에 의한 손상은 임시적으로 수선이 가능하나, 사이드월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수선이 불가능해 즉각 타이어를 교체해야 한다.
카카스(carcass)는 트레드 하단에 위치한 각종 코드층을 뜻하는데, 이 카카스의 구성에 따라 타이어의 형태가 변경된다. 카카스에 사용하는 코드의 주요 소재로는 레이온,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이 사용되며, 일부 브랜드에서는 강철 벨트를 사용하기도 한다. 교체시기가 지난 타이어에서 간혹 보이는 실밥이나 철심 등이 바로 이 카카스 구조인데, 이 카카스 구조가 보이기 전에 타이어가 교체돼야만 안전한 주행이 가능하다.
비드(bead)는 타이어가 림과 맞닿는 부분으로, 강철심을 고무와 충전재 등으로 코팅해 만든다. 적층된 코드 끝부분을 마감해 타이어가 림에 장착될 수 있도록 하며, 가속과 감속에서 발생하는 토크를 타이어 전체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이 비드가 파손될 경우 공기압 유출 혹은 이너 튜브 이탈이 발생해 위험할 수 있으므로 장착 시 비드 파손에 유의하여야 하며, 사용 시에도 파손 여부를 수시로 확인하는 것이 좋다.
#한국이륜차신문 #모터사이클뉴스 #오토바이타이어 #타이어 #바린이
한국이륜차신문 301호 / 2018.2.16~2.28
Copyright ⓒ 한국이륜차신문 www.kmnews.net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