짧은상식_내가 착용하고 있는 헬멧, 안전한 제품일까?

2021-12-06

헬멧은 라이더의 머리를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생명과 직결되는 장비이기 때문에 엄격한 테스트를 통과한 제품만 판매 가능하다. 또한 수출을 위해서는 해당 국가의 인증을 따로 받아야 한다. 한국 KC, 미국의 DOT, 유럽의 ECE, 영국 SHARP, 일본 JIS, 민간단체인 SNELL 등 여러 종류의 인증 중 첫 번째로 소개할 내용은 우리나라의 KC 인증이다. 국내에 판매되는 헬멧은 모두 KC 인증을 받아야 한다.

우리나라에는 총 70여 개의 ‘법정의무인증제도’가 있는데 ‘제품의 안전’이라는 목적을 두고 있다. 하지만 각 부처마다 인증마크가 모두 달라서 중복인증을 받아야 했다.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2009년과 2011년 두 번에 걸쳐 ‘KC 마크’로 통합됐다.


통합이 이루어진 'KC 마크'


헬멧도 KC 인증을 받아야 한다. KC 인증은 국가에서 정한 안전 기준을 충족해 ‘안전한 사용’이 가능한 제품에 표시되는 것으로, 특정 제품을 제조하거나 판매하기 위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


헬멧의 KC 인증은 어떻게 진행될까?


하프형 안전모/세미젯트형 안전모


젯트형 안전모/풀페이스형 안전모


① 모체 ② 충격 흡수 라이너(Liner) ③ 턱 끈 ④충격 밴드 ⑤ 귀덮개 ⑥ 안경걸이 ⑦ 머리 쿠션 ⑧턱 가드 ⑨ 머리띠 ⑩ 귀 쿠션


인증 시험 절차와 규정은 ‘KS G 7001’을 따르고 있다. 이 기준은 올해 3월 23일 개정되면서 안전성이 더욱 강화됐다. 국가기술표준원은 헬멧의 종류에 따라 아래와 같이 총 세가지 종류로 권장 착용 대상을 구분하고 있다.

구분종류권장 착용 대상
1종하프, 세미젯트도로교통법상의 원동기 부착 자전거, 총배기량 125cc 이하의 2륜 자동차, 일반 4륜 자동차의 승차자
2종세미젯트, 제트, 풀페이스도로교통법상의 2륜 자동차의 승차자
3종젯트, 풀페이스도로교통법상의 2륜 자동차의 승차자, 경주용 2륜 및 4륜 자동차의 승차자


다음에 소개하는 내용은 가장 보편적인, 2종(세미젯트, 제트, 풀페이스)에 해당하는 헬멧의 성능 시험 기준이다.


충격 흡수 테스트


183cm 높이에서 6m/s의 속도로 평면 모루에 자유낙하 시킨다. 총 4부위를충격하는데 1부위당 2번씩 충격한다. 측정된 충격 가속도는 300g를 넘지 않아야 한다.


내관통성 테스트


시험용 머리 모형에 장착된 헬멧에 200cm 높이에서 3kg의 앞이 뽀족한 강철을 낙하시킨다. 스트라이커(강철)와 헬멧 내부의 머리 모형 사이에 전기적 접촉이 발생하면 탈락이다.


턱 끈 강도 테스트


처음 149N의 하중을 가한 뒤 위치를 측정한다. 이후 2분 동안 882N의 하중을 가해 늘어진 정도를 확인한다. 이때 턱 끈이 떨어지거나 손상이 없어야 하고 2.5cm 이상 늘어나지 않아야 한다.


돌기부 테스트


돌기부와 표면마찰 시험장치(그림1)


그림1에서 일정한 무게와 속도를 가진 쇠막대를 고정된 헬멧의 돌기부(에어덕트 등 튀어나온 부분)에 수평 방향으로 충돌시킨다. 이때 충돌되는 돌기부가 떨어져 나가거나, 걸리지않고 미끄러져 나가야 한다.


표면 마찰 테스트


400N의 힘으로 헬멧을 누른 상태에서 규정된 연마재 위를 넘어가야 통과다.


돌기부 테스트와 표면 마찰 테스트를 진행하는 이유는 사고 발생 시 바닥에 닿은 헬멧이 잘 미끄러지지 않으면 목이 비틀어지며 큰 부상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외에도 시야 테스트, 평행도, 굴절력, 투명도, 내열성, 내한성, 강도, 보안경형의 머리끈, 금속부품의 내식성, 땀 테스트, 두발유 테스트 등 11가지의 테스트를 모두 통과해야만 최종적으로 KC 인증을 받을 수 있다.


안전한 헬멧을 구매하려면


HJC 알파1 인증 결과


우리나라에서 헬멧을 판매하려면 KC 인증은 필수요소이다.


하지만 간혹 승차용 안전모가 아닌 운동용 안전모로 인증을 받아 판매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행위는 위법일뿐더러 소비자의 안전을 위협하기 때문에 법에 따른 제재를 받을 수 있다. 또한 사고 발생 시 인증을 받은 헬멧은 파손되어도 보상처리를 받을 수 있기 때문에 꼼꼼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


‘제품안전정보센터’ 링크에 접속해 ‘인증정보 검색’을 클릭하면 KC 인증 여부를 검색할 수 있다.


글/이승원 기자

참조/www.standard.go.kr

제품안전정보센터/www.safetykorea.kr


#한국이륜차신문 #모터사이클뉴스 #헬멧 #인증 #KC인증


한국이륜차신문 392호 / 2021.12.1~12.15


Copyright ⓒ 한국이륜차신문 www.kmnews.net 무단복제 및 전재 – 재배포금지